확대 l 축소

<사설>AI에 구제역까지 겹친 농가, 비상책 없나

전국적으로 구제역 창궐 공포가 커지고 있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로 고통 받는 축산농가에 재앙이 겹친 꼴이 됐다.

충북과 전북, 경기도에 이어 다시 충북에서 구제역 바이러스가 발생하면서 축산농의 고통이 이만저만 아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9일 구제역 가축방역 심의회를 열고, 4단계로 된 위기경보를 최고단계인 ‘심각’으로 격상했다. 위기경보보가 심각단계로 간 것은 과거 최악의 피해를 낸 지난 2010년 이후 7년만의 일이다.

거점소독 시설이 확대되고 전국 86개 가축시장이 무기한 폐쇄된다. 살아있는 가축간 농장 이동도 전면 금지된다.축산농이 많은 경북은 비상상태라 할 수 있다. 충북 보은과 맞붙어 있는 상주는 물론이요 경북은 전국 최대 한우 생산지이기 때문이다.

특히 AI가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찾아온 구제역은 농가들을 더 힘들게 한다. 구제역은 소, 돼지, 양 등 동물에서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전염병이다. 이번 구제역이 아직은 소 사육농에서만 발생했지만 돼지로 번진다면 과거와 같은 최악의 상황이 재연될 가능성도 있다.

돼지는 소보다 감염확률은 낮으나 소보다 전파력은 1000배나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주변 가축에 미치는 영향도 심각하다.

경북도 축산당국은 “그동안 돼지의 경우 철저한 관리를 해 왔기 때문에 구제역 발생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결코 안심할 상황은 아니다.

거의 매년 되풀이되는 가축전염병으로 방역비용의 재정적 부담도 적지 않다. 살처분 보상의 경우 지난 5년간 1조8천억원의 예산이 투입됐으나 가축전염병이 줄어들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 이는 가축 전염병에 대한 대책의 한계를 말해주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 같다.

소독, 백신접종, 살처분, 보상 등으로 이어지는 당국의 대책이 너무 안일한 것은 아닌지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현장 검증 등을 통해 새로운 대응책이 없는지를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것이다.

구제역은 아직까지 명쾌한 퇴치법이 없다. 당국의 초기 대응과 축산농가와 행정당국이 성실하게 현장 대응하는 노력으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