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승
나뭇잎은 푸른 말을 하네
만상이 귀 쫑긋 세울 즈음,
보이지는 않아도 바람은
작은 우주 하나씩 흔들고 있네
어둠이 잠시 비켜 서 있네
열린 창밖 내다 보노라면
청솔가지 흔드는 서늘한 가을 곁에
달빛은 수화手話를 하네
한줌 바람결에 흔들리는 것
어디 드러난 몸뿐이냐고,
길섶 여린 잡초의 질긴 삶뿐이냐고,
나뭇잎은 푸른 말을 하네
그대로 듣고 보고 받아들이면 되는
모든 게 마음의 일인 것을
푸른 나뭇잎은 푸른 말을 하네
시는 쓸 때만 시인이다. 겨울 설매(雪梅)는 제 스스로 향기를 낼 줄 안다. 몸과 정신이 다르지 않듯, 시는 현실 공간과 시의 공간이 둘이 아니다. 시는 자신의 체험의 깊이를 시 행간 속에 깊이 밀어 넣는 작업이다. 시는 사물을 담는 일이자, 췌사(贅辭)를 버리는 일이다. 시작(詩作)은 깨어있는 나를 만나는 시공간이다. 경북 군위 출생 박종승의 시집『풀씨 법문』(2020, 그루)은 편편마다 격물(格物)을 통해 치지(致知)에 이르는 사랑채의 언어다. “격물치지(格物致知)는 주희가『대학장구』에서 언급한 것으로, 모든 사물의 이치를 끝까지 파고 들어 앎에 이른다는 뜻이다. 이 경우 격물(格物)이 사물에 나아가 이치를 궁구하는 것이라면, 물격(物格)은 사물의 이치를 내가 안다, 내가 이해한다는 뜻이다. 문제는 ‘사물’과 ‘나-시인’, 그리고 양자를 매개하는‘말(언어)’이다. 말과 사물의 관계는 필연적이지도, 그렇다고 불변적인 것도 아니다. 그 사이에 가로 놓인‘벌거벗은 경험’으로서 심연에 대한 느낌이 중요하다. 말과 사물의 단절과 이음, 그것은 다른 한편으로 마음의 현상(학)과 만나게 된다. 마음이 생기는 까닭에 모든 법이 생겨난다는 원효의 말처럼, 마음의 문제는 곧 말과 삶의 문제에 속한다. 사물의 응시에 대한 나의 대답이 시라면, 시는 앎과 느낌의 한 방법에 다름 아니다.”(김상환)
하여, 박종승의 시는 고향 정서를 바탕으로 한, 서정시의 다채로운 꽃밭을 이룬다. 그는 틈만 나면 소담하고 푸근한 고향 집 우물터를 기웃거린다. 귀한 마음으로 산 앞에서 바장인다. 세상이 싫으면 저세상 가신 어머니를 꿈속에서 만나 함께 뒷산을 걷기도 한다. 그의 시는 산천의 편안함이 있고, 따뜻한 서정을 꿈꾼다.「사랑채」는 할아버지의 잔기침이나 인기척을 통해, 높은 선비 정신을 추구하기도 하고, 눈앞의 온갖 현실의 그늘을 지엄한 시의 스승으로 모시기도 한다. 그에게 시는 영감을 불러일으키는「푸른 말」이자, 바른 길로 걷게 하는 고향이자 모성이기도 하다. 이루지 못한 어떤 것들에 대한 그리움의 공간을 낙화로 풀어내는가하면,「풀씨 법문」에 이르러선 불교에 대한 예리한 법담을 주고받는다. 이런 시안(詩眼)은 ‘풀씨’들의 말을 통해 법문으로 화답한다. 시어 한 줄 한 줄을 정성껏 깁는가 하면, 박종승은 밤낮 자신의 시들을 탁마 한다. 하여, 누구나 아는 그런 쉬운 느낌과 감정으로 시를 기루고, 우리 모두의 노래로 불리어지길 고대하는 것이다.
좋은 시는 공감을 바탕으로 한 공동체의 노래이자, 외로운 이들에게 희망을 떠올리게 하는 별 같은 언어여야 한다. 시인은 사물을 대상으로 그가 선택한 물상들 속에서 새로운 세계를 향한 상상의 그림을 만들어가는 존재이다. 그러한 상상력의 바탕 위에 그려진 언어의 그림들이 기교면이든 내용면이든 귀결되는 종착점은 인간의 풍경을 요구한다. 그것은 시인의 정신 질감 속에 들어 있는 여러 체험 요인들과 복합적인 상관 속에서 싹을 틔우기 때문이다. 시「푸른 말」은 ‘나뭇잎이 푸른 말을 하지 않을까’ 라고 착상한데서 시가 태어났다. 그렇겠다. 박종승의「푸른 말」은 “나뭇잎이 푸른 말”을 한다는 놀라운 시적 메타포(metaphor)가 볼만하다. 정말로 세상의 모든 나무는 ‘푸른 말’을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보이지 않는 바람 속에서, 나뭇잎들이 ‘작은 우주’ 하나씩을 흔들고 서 있는 이미지를 행간에 비벼 넣었다. 바람의 세계와 잎들의 세계가 밤낮으로 노는 장면은, 신비하고 아름답다. 또한 달빛과 ‘수화手話’를 하며 노는 청솔가지들의 ‘푸른 말’은, 서늘한 가을 풍경을 한 단계 더 높은 격조의 세계로 끌어준다. 하여, 사물은 시공간을 통해 자신을 세계의 밖으로 드러내기도 하고, 안쪽 깊이 숨기도 한다. 시는 바로 이 경계에서 ‘푸른 말’처럼 불현듯 들린다.
|
김동원 시인 |
1962년 경북 영덕 구계항에서 태어나 대구에서 자랐다. 1994년 『문학세계』로 등단, 2017년 매일신문 신춘문예에 동시, 2020년 『문장21』에 평론이 당선되었다.
시집 『시가 걸리는 저녁 풍경』, 『구멍』, 『처녀와 바다』, 『깍지』, 『빠스각 빠스스각』, 시선집 『고흐의 시』, 시 에세이집 『시, 낭송의 옷을 입다』, 평론집 『시에 미치다』, 동시집 『우리 나라 연못 속 친구들』, 『태양 셰프』출간하였으며, 시평론 대담집 『저녁의 詩』를 편저했다.
대구예술상(2015), 고운 최치원문학상 대상(2018), 대구문학상(2018), 영남문학상 수상(2020)을 수상했다. 대구시인협회부회장 역임했으며, 대구문인협회 이사, 한국시인협회원, 대구아동문학회원, 『텃밭시인학교』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