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는 입동(立冬)을 기준으로 김장담그기를 시작했다. 그러나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기온이 올라가면서 요즘은 12월 초까지도 김장을 담그는 가정이 많다.
겨울에 담아 이듬해 봄까지 먹는 김장김치는 담그는 과정에 손이 많이 가 매우 번거롭다. 배추와 무, 고춧가루, 젓갈 등 어느 하나도 들어가지 않으면 제맛을 낼 수가 없다. 과거 우리 조상은 마을 사람들이 모여 집집마다 돌아가며 김장을 담그는 품앗이 행사도 벌였다.
보통은 봄까지 김장을 먹으나 지역에 따라 여름철까지 먹는 경우도 있다. 배추와 무를 거의 양념 없이 소금에만 절여 음지의 땅속에 묻어두었다가 이듬해 3월부터 먹기 시작한다. 이를 짠지형 김치라 불렀다.
유네스코는 우리나라 김장 담그는 풍속을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했다. 판소리, 종묘제례, 강강수월래, 아리랑 등과 함께 한국의 독창적 문화임을 세계가 인증한 것이다. 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우리 국민의 90%가 아직도 김치를 담가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한국인은 냉장고 속 김치만 파먹어도 3년은 버틴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한국인에게 김치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다.
가격 전문조사기관인 한국물가정보는 올해 4인가족 김장비용을 30만원대로 예상했다. 20포기 기준으로 재래시장은 30만1천원, 대형마트는 36만6천원 정도다. 작년보다 조금 내렸거나 비슷한 수준이다. 김장담는 번거로움으로 예년보다 김장족이 줄고 있다고 하나 여전히 김장을 담그는 일은 명절만큼이나 우리에겐 소중한 일이다.
김장을 다 담아놓고 가족끼리 둘러앉아 삶은 돼지고기 등을 먹으면서 이야기를 나누는 추억의 행사가 바로 지금부터 시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