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서 시작하는 범시민 메세나 운동
  • 우정구 케이투데이 편집인<전 매일신문 편집국장>
  • 메세나(mecenat)는 기업의 문화예술지원 활동을 통칭해 부르는 말이다. 기업이 사회에 공헌하고, 국가 경쟁력에 이바지하는 기회이기도 하다.

    역사적으로 메세나 활동의 대표적 사례로는 피렌체의 메디치 가문이 꼽힌다.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등 르네상스시대 예술계를 이끌던 거장들을 후원한 가문이다. 메디치가(家)는 예술분야뿐아니라 천문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단테 등 당대 최고의 과학자와 철학자 등도 후원한 큰손 중 큰손이다.

    르네상스가 문화예술의 꽃을 피울 수 있었던 배경은 상공업이 무척 발달한 피렌체라는 도시가 있고, 그곳서 부를 축적한 메디치가가 있었기 때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후대에 와 미국의 맨해튼 은행의 록펠러 회장이 기업의 사회공헌 예산 일부를 문화예술 활동에 할당하자고 주장하면서 메세나 운동은 본격화 된다.

    작년 대구 등 전국의 많은 도시가 이건희미술관 유치에 나섰다. 빌바오 효과 때문이다. 빌바오 효과란 도시의 랜드마크 하나가 도시 전체를 먹여 살리는 것을 두고 하는 표현이다.

    스페인 북부 작은 도시 빌바오는 주력산업이 붕괴하면서 도시가 쇠락의 길로 접어들자 구겐하임미술관 유치로 극적 회생을 하게 된다. 존망의 기로에 선 도시가 미술관 건립으로 세계적 관광지로 떠오른 것이다. 문화적 가치만으로 도시는 얼마든지 번창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좋은 사례다.

    대구문화예술진흥원을 중심으로 대구에서 기업과 시민, 언론이 동참하는 범시민메세나운동이 본격 전개된다. 국채보상운동 발상지답게 대구가 전국 최고의 메세나 성지로 거듭나길 기대해보자.
    우정구 케이투데이 편집인
    <전 매일신문 편집국장>


  • 글쓴날 : [23-02-06 10:20]
    • 코끼리뉴스 케이투데이 기자[byj8085@naver.com]
    • 다른기사보기 코끼리뉴스 케이투데이 기자의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