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뱃돈
  • 우정구 케이투데이 편집인<전 매일신문 편집국장>
  • 세배(歲拜)는 한해를 무사히 넘기고 새해를 맞는 어르신에게 문안인사를 드리는 우리 미풍양속의 하나다. 세뱃돈은 인사차 찾아온 이들에게 빈손으로 보내는 것은 예의가 아니라 생각한 어르신이 조금씩 세뱃돈을 쥐어보낸 것이 유래가 됐다.

    돈의 가치가 지금처럼 크지 않던 시절, 떡국과 술상을 차려 대접하기도 했고, 차례를 위해 준비한 음식을 싸서 갈 때 들려 보내기도 했다.

    기록에 의하면 1960년대에는 세뱃돈이 10원 정도, 1980년대 들어서 500∼1천원, 1990년대는 1만원권이 세뱃돈으로 사용됐다. 5만원권이 등장한 2000년대 들어서 세뱃돈의 액수가 커져 부담스러워졌다는 시중 여론이 나왔다.

    이번 설 명절에는 유난히 세뱃돈을 두고 많은 얘기가 오갔다. 물가가 오르고 불경기가 심해 주머니 사정이 가벼워진 직장인에게 세뱃돈이 적지 않게 부담이 됐다는 후담이다. 한 포털사이트의 여론조사에서도 10명 중 4명이 “설 명절 비용이 부담스러웠다”는 답변을 해 불경기 여파가 설 명절에도 고스란히 반영됐음을 짐작게 했다.

    이런 가운데 가수 이적이 인스타그램에 올린 “3만원권 지폐가 나오면 좋겠다”는 글이 많은 이의 공감을 얻으면서 세뱃돈을 둘러싼 논란을 더 뜨겁게 했다. “3만원권 지폐가 나오면 세뱃돈으로 적당할 것 같다”는 이적의 발언에 대해 국민의힘 하태경 의원이 5만원권을 부담스러워하는 국민이 많을 것이라며 3만원권 발행 촉구 결의안까지 내겠다고 응답해 세뱃돈 논란이 신화폐 발행으로 옮겨가는 분위기로 번지기도 했다.

    세뱃돈은 유래에서 보듯이 미풍양속의 정신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오가는 것이 참 의미다. 3만원권 발행의 유용성은 세뱃돈과는 별개로 따져볼 문제가 많을 것이다.
    • 우정구 케이투데이 편집인
      <전 매일신문 편집국장>


      
     
  • 글쓴날 : [23-01-25 09:47]
    • 코끼리뉴스 케이투데이 기자[byj8085@naver.com]
    • 다른기사보기 코끼리뉴스 케이투데이 기자의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