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경북 신규 확진자 114명... 달성군 학교 무더기 감염
    • 14일 대구시와 경북도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114명이 발생했다.

        • 질병관리청 발표에 따르면 이날 오전 0시 현재,대구시에서 발생한 코로나19 신규 확진환자는 72명(지역감염)으로 총 확진자 수는 17,877명이다.

        • 경북도에서는 42명(해외 1명)이 신규 발생했다.시군별로 영천 10명, 경주 7명, 안동 6명, 경산 5명, 구미·고령·성주 3명, 포항·청도 2명, 칠곡 1명이 추가로 나왔다.누적확진자는 10,335명이다.

    영천시에서는 확진자(영천#336)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11. 12.(금) 확진자(영천#333)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11. 10.(수) 확진자(영천#324)의 접촉자 1명이 자가 격리 중 확진 ▷ 11. 12.(금) 확진자(영천#338)의 접촉자 4명이 확진 ▷ 영천 소재 사업장 관련 접촉자 1명이 자가 격리 해제 전 검사에서 확진 ▷ 11. 12.(금) 확진자(영천#334)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11. 11.(목) 확진자(영천#329)의 접촉자 1명이 확진됐다.

    경주시에서는 확진자(경주#1,110)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11. 12.(금) 확진자(경주#1,139)의 접촉자 5명이 확진 ▷ 11. 12.(금) 확진자(서울)의 접촉자 1명이 확진됐다.

    안동시에서는 확진자(안동#415)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11. 11.(목) 확진자(안동#407)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11. 8.(월) 확진자(안동#397)의 접촉자 2명이 자가 격리 중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1명이 확진 ▷ 11. 13.(토) 확진자(안동#4422)의 접촉자 1명이 확진됐다.

    경산시에서는 확진자(대구시 동구)의 접촉자 2명이 확진 ▷ 11. 4.(목) 확진자(대구시 남구)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11. 13.(토) 확진자(경산#2,094)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11. 12.(금) 아시아에서 입국한 1명이 확진됐다.

    구미시에서는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3명이, 고령군에서는 Y요양원 관련 접촉자 3명이 시설격리 중 확진됐다.

    성주군에서는 확진자(성주#136)의 접촉자 2명이 확진 ▷확진자(성주#134)의 접촉자 1명이 확진됐다.

    포항시에서는 확진자(부산)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확진자(대구 동구)의 접촉자 1명이 확진됐다.

    청도군에서는 확진자(청도#221)의 접촉자 2명이, 칠곡군에서는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1명이 확진됐다.

    경상북도에서는 최근 1주일간 국내 291명(해외유입 제외)이 발생해, 주간 일일평균 41.6명으로, 현재 1892명이 자가 격리 중이다.

    대구 추가 확진자 72명 중 달성군 소재 학교 관련으로 14명이 확진됐다.관련 확진자는 총 24명으로 11월 10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검사에서 23명이 추가 확진됐다.11/10 1명, 11/11 6명, 11/12 3명, 11/13 14명

    북구 소재 종교시설 2 관련으로 1명, 북구 소재 요양기관 3 관련으로 5명이 격리 중 확진됐다.

    서구 소재 의료기관 2 관련으로 12명이 격리 중 확진됐다.

    남구 소재 학교 2 관련으로 2명이 확진됐다.

    중구 소재 시장 관련으로 4명이, 동구 소재 건설현장 2 관련으로 4명이, 달서구 소재 목욕시설 관련으로 4명이,북구 소재 사업장 2 관련으로 4명이 확진됐다.

    타지역 확진자의 접촉자로 1명, 기타 확진자의 접촉자로 11명이 확진됐다.

    감염원을 조사 중인 확진자는 10명이다. 

    한편 격리 치료 중인 확진환자는 599명으로, 지역 내외 병원에 278명, 생활치료센터에 249명이 입원 치료 중이다. 어제 하루 완치된 환자는 65명으로 현재까지 완치된 환자는 총 17,191명이다. 

    사망자는 1명이다. 지난 2일 확진되어 칠곡경북대학교병원에 입원하여 치료 중 폐렴 등 증상이 악화되어 13일 사망했다.
  • 글쓴날 : [21-11-14 10:19]
    • 김대근 기자[eorms6348@naver.com]
    • 다른기사보기 김대근 기자의 다른기사보기